얼리 엔트리 돌풍, KBL 드래프트 판도 뒤흔든다
본문
☆ 안녕하세요!! 무분별한 먹튀로 인해 수많은 피해자가 발생함에 따라 이와 같은 피해를 방지하고,
얼리 엔트리 돌풍, KBL 드래프트 판도 뒤흔든다

2025 KBL 신인 드래프트의 최대 화두는 단연 ‘얼리 엔트리’다. 고려대 문유현과 윤기찬을 비롯해 연세대 강지훈, 성균관대 강성욱·김윤성, 동국대 김명진·이한결, 건국대 여찬영, 삼일고 양우혁까지 무려 9명이 조기 프로 진출을 선언했다.
예상 밖의 대거 신청은 드래프트 구도를 크게 바꿔놓았다. 올 시즌 대학 4학년 자원들의 기량이 다소 아쉽다는 평가 속에서, 프로 구단들은 선택 폭이 좁을 수 있다는 우려를 드러냈다. 하지만 얼리 엔트리 신청자가 줄줄이 나오면서 오히려 ‘황금 드래프트’라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
프로 구단 관계자들의 반응은 확연히 달라졌다. 한 스카우트는 “기존에는 로터리픽에서 눈에 띄는 선수가 드물었다. 그런데 얼리 엔트리 자원들이 나오면서 1라운드 후반까지 좋은 선수를 지명할 수 있을 전망”이라며 만족감을 드러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드래프트 중반을 예상하는 팀 입장에서도 숨통이 트였다. 예전 같으면 고민이 컸을 텐데 이제는 기대가 생겼다”고 평가했다.
가장 뜨거운 관심은 역시 ‘1순위’에 쏠린다. 현 시점에서 강력한 후보는 고려대 가드 문유현이다. 이미 대학 시절 국가대표로 선발돼 기량을 증명했고, 공수 밸런스·리더십·강한 멘탈까지 두루 갖췄다는 평가다. 다수의 구단 관계자들이 “양동근 감독을 떠올리게 한다”며 만장일치로 1순위 후보로 꼽았다.
물론 변수도 있다. 연세대 센터 강지훈이 빅맨이 필요한 팀의 선택을 받을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장기적인 활용성과 당장 프로에서 통할 수 있는 경쟁력 면에서는 문유현이 한발 앞선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한편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드래프트의 대세는 얼리 엔트리다. 2024년 로터리픽 역시 대부분이 얼리 엔트리 출신으로 채워졌다. 전문가들은 “대학 무대에서 3~4년을 보내는 것보다 조기 프로 진출을 택하는 게 선수 성장에 유리하다”며 긍정적인 흐름으로 바라보고 있다.
다만 대학팀들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유망주들이 일찍 프로로 떠나면서 전력 손실이 커지고, 스카우트 운영에도 어려움이 따른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빠른 프로 적응은 선수와 구단 모두에게 이득”이라는 목소리가 더 큰 상황이다.
이번 드래프트가 한국 농구의 새로운 흐름을 보여주는 분수령이 될 수 있을지, 10월 열릴 지명식에 시선이 모인다.